본문 바로가기

산업재해

[방송출연/KNN] 사망사고와 중대재해처벌법 [법무법인 시우 부산 이용민 변호사] 법무법인 시우 이용민 변호사(부산사무소)는 KNN 더로이어 48화에서 사망사고와 중대재해처벌법에 관한 사례에 관하여 방송출연하였습니다. 산업재해와 관련된 장해/사망사건으로 고민하고 있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시길 권합니다.📞 이용민 변호사 상담 안내대한변호사협회 우수변호사상 수상자이자, 민사·형사 전문 변호사로 등록된 법무법인 시우(부산사무소)의 이용민 변호사는 수많은 산업재해 관련 사건의 처리 경험(재해자측/기업측 양측)을 바탕으로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는 법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051-503-6699📧 ymlee@siwoolaw.kr📺 YouTube – 부산변호사TV 더보기
[방송출연] 법대로 합시다 더 로이어(28화) - 일용직 근로자의 산업재해보상 법무법인 시우의 이용민 변호사가 출연한「법대로 합시다 더 로이어」 28화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가 부상을 입은 일용직 근로자의 산업재해보상 청구 사례가 소개되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reload=9&v=j9bSBci8cN4 ☎️ 법적 조력이 필요할 때산재와 관련된 소송은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생계와 직결된 중요한 사안입니다. 비슷한 상황이라면 상담을 통해 해결 방향을 찾아보시길 권합니다.법무법인 시우 부산사무소 이용민 변호사 상담 안내대한변호사협회 우수변호사상 수상, 등록 민사·형사 전문변호사인 이용민 변호사(법무법인 시우)는 다수의 산업재해보상 사건을 처리한 경험이 있습니다.📞 051-503-6699📧 ymlee@siwoolaw.kr🎥 부산변호사TV 유.. 더보기
산업재해 손해배상 소송에서 중요한 부분 [법무법인 시우 부산 이용민 변호사] 산업재해 손해배상 소송 사건을 준비하거나 대응할 때 확인하고 정리해 두어야 할 핵심 부분들입니다. ✅ 1. 산업재해 사고 발생 사실의 입증산업재해 손해배상 청구를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산업재해 사고가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자료가 중요합니다:산재 신고서 및 산재 승인 결정서작업일지, CCTV, 목격자 진술서 등 현장자료의료기록: 초진기록, 진단서, 수술기록지, 입원 및 치료기록 등✅ 2. 사용자의 과실 여부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사용자(사업주)의 과실을 입증해야 합니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조치 의무 위반 여부기계·설비의 결함, 관리소홀, 위험요소 방치 여부안전교육 미실시, 보호장비 미제공 여부✅ 3... 더보기
[고객후기] 변호사님 그동안 정말 감사했습니다. 산업재해를 당한 의뢰인을 위하여 손해배상(산) 사건을 오랜 기간동안 수행하였고, 성공적으로 판결금까지 수령하였습니다. 이에 의뢰인의 어머니는 "그동안 너무 수고하셨습니다. 변호사님 그동안 정말 감사했습니다."라는 취지의 감사의 메시지를 보내 주셨습니다. 이러한 메시지를 받을 때마다 힘이 납니다. 사건의뢰나 법률상담이 필요하신 경우 법무법인 시우 부산(051-503-6699) 이용민 변호사에게 연락 주세요 더보기
[민사/성공사례] 화상 관련 산업재해 손해배상(산) 사건에서 약 7천만원 이상 배상 판정(지연손해금 포함) [부산 법무법인 시우 이용민 변호사] 📌 사건 개요의뢰인은 2023년 2월 8일, 공장에서 세척 작업을 하던 중 뜨거운 세척액에 의해 심재성 2도 화상을 입고 장해판정을 받았습니다. ⚖️ 법원의 판단: 사용자 책임 인정법원(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2023가단1055xx 사건)은 근로계약상의 부수적 의무, 즉 사용자에게 부여된 근로자 보호의무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사용자는 근로자가 노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명, 신체, 건강이 훼손되지 않도록 인적·물적 안전조치를 마련할 의무가 있음.이와 같은 조치를 게을리한 것은 채무불이행 및 불법행위에 해당하며, 사용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있음.판결은 특히 대법원 2018다270876(2021. 8. 19.) 및 2011다60247(2013. 11. 28.) 판례를 근거로 하여 보호의무.. 더보기
[부산산업재해변호사] 손해배상(산) 소송에서 유족급여의 공제대상 [법무법인 시우] 대법원 1981. 10. 13. 선고 80다2928 판결 중 근로기준법 제82조 또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9조의6 소정의 유족보상 또는 유족급여는 근로자의 사망으로 인하여 장래 얻을 수 있는 수입을 상실하게 된 재산상 손해를 전보하기 위하여 일정액을 소정 유족에게 지급하는 것으로서 이는 위자료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아니다. 즉, 위 판결은 유족급여는 일실수입의 공제 대상이지 위자료의 공제 대상은 아니라는 취지의 내용입니다. 산재급여의 각 항목별로 공제되는 대상이 다르므로 손해배상(산) 사건의 소송실무에서는 이를 유의하여야 하겠습니다. 법무법인 시우 부산사무소의 이용민 변호사는 다양한 산업재해 관련 형사, 민사 손해배상 사건을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근로자/회사 측 양측에서 다양한 사건을 처리하고 있으므로.. 더보기
[대법원판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관련 대법원 판례 2017두76005 대법원 2022. 6. 30. 선고 2017두76005 판결 [부당전직구제재심판정취소청구의소]〈원고 회사가 육아휴직을 사용한 참가인을 복직시키면서 기존의 ‘발탁매니저’가 아닌 ‘영업담당’으로 인사발령한 것이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 제4항의 ‘휴직 전과 같은 업무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직무’에 복귀시킬 의무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공2022하,1490] 【판시사항】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 제3항의 ‘불리한 처우’의 의미 / 사업주가 남녀고용평등법 제19조 제4항에 따라 육아휴직을 마친 근로자를 복귀시키면서 부여한 업무가 휴직 전과 ‘같은 업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 및 휴직기간 중 발생한 조직체계나 근로환경의 .. 더보기
언론보도 KNN 법대로 합시다 - 더 로이어 2021. 10. 15.자 방송 출연<부산산업재해변호사> 저희 법률사무소의 이용민 변호사님께서 2021. 10. 15. 오전 9시10분에 방송된 KNN 법대로 합시다 - 더 로이어에 출연하여 산업재해 관련 손해배상 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저희 법률사무소 시우의 구성원들은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동하며 능력을 인정받고자 합니다. 부산​변호사 이용민(우수변호사상 수상) 이메일 : ymlee@siwoolaw.kr 더보기
[민사] 산업재해 관련 손해배상 사건에서 약 1억6250만원 승소(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2020가단1074XX 손해배상(산)) [부산손해배상법률사무소] 저희 법률사무소 이용민 변호사님께서 기계라인에서 청소를 하다가 산업재해사고를 당한 의뢰인을 대리하여, 사용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의 소를 제기하였고(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 2020가단 1074XX 손해배상(산) 사건), 부산지방법원 서부지원은 2021. 9. 16. 사용자가 의뢰인에게 약 1억6250만원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하였습니다. 이용민 변호사가, 구체적 현장상황 확인, 증인신문 대응 등 적극적으로 변론한 결과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었습니다. 이용민 변호사는 다수의 손해배상(산) 사건을 근로자 및 사용자 쌍방의 입장에서 대리한 경험이 있고, 대부분의 사건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저희 법률사무소 시우의 구성원들은 의뢰인에게 최선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더보기
[부산손해배상변호사] 교통사고로 발생한 장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일 아래 판례는 아주 예외적인 경우에는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을 사고일 이후 특정 시점으로 볼 수도 있다는 취지의 내용이나, 어디까지나 매우 희귀한 케이스이므로 해당 판례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훨씬 많을 것입니다. 따라서 사고 직후 최대한 빨리 소를 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소멸시효가 도과 후 소송하겠다고 찾아오시는 분들을 볼 때가 가장 안타깝습니다. 대법원 2019. 7. 25. 선고 2016다1687 판결 [손해배상(자)]〈교통사고로 발생한 장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일〉[공2019하,1639] 【판시사항】 [1] 가해행위와 이로 인한 현실적인 손해의 발생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있는 불법행위의 경우,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이 되는 ‘불법행위를 안 날’의 의미 및.. 더보기
도시일용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대법원 2019. 2. 21. 선고 전원합의체 판결] 도시일용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60세가 아닌 65세로 보아야 한다는 취지의 대법원 판결입니다. 위 대법원 판결 선고 이전까지 일반적인 가동연한을 60세로 보고 있었습니다. 판결문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scourt.go.kr/supreme/news/NewsViewAction2.work?pageIndex=1&searchWord=&searchOption=&seqnum=6562&gubun=4&type=5 본 변호사는 부산, 울산, 창원에서 공사현장에서의 사고, 산업재해와 관련된 다수의 손해배상 사건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건 상담이나 위임을 원하시는 경우 언제든지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부산변호사] 산재사고 후 손해배상 청구시 소멸시효와 관련된 하급심 판례 [산업재해][손해배상] 아래와 같은 하급심 판례가 있기는 합니다만 사안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경우도 있고, 논란을 피하기 위하여 사고일로부터 3년 이내에 소를 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울산지방법원 2012가단10057 손해배상(산) 사건 채무불이행에 기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완성 여부 우선 근로계약에 수반되는 사용자의 안전배려의무 불이행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발생된 업무상의 재해와 관련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에 대하여 가지는 손해배상채권이 시효로 소멸되었는지 여부에 관하여 보건대, 회사와 근로자 사이의 근로계약은 회사의 보조적 상행위이고, 상사시효가 적용되는 채권에는 직접 상행위로 인하여 생긴 채권뿐 만 아니라 상행위로 인.. 더보기